코딩용 노트북 추천 가이드(현직 자바 개발자)

목차

    코딩용 노트북 추천

    2023 년 노트북 구매를 위해 알아보았던 정보 를 정리 해보고자 한다.

    일단 필자는 3년차 현업 자바 개발자 인점 강조 합니다.

    코딩용 노트북 바로보기

     

    코딩용 노트북 추천 TOP 5

    지난 저의 포스팅 코딩용 노트북 추천 가이드(현직 자바 개발자) 에서 대략적 으로 코딩용 노트북 을 고를때 의 사양을 상세하게 작성한 적이 있습니다. 지금까지도 많은 분들이 들어와서 관심

    jobblogcom.tistory.com

    코딩용 키보드 추천 가이드

     

    개발용 키보드 , 사무실 키보드 는 뭐가 좋을까? 키보드 추천 가이드

    지난 저의 포스팅에서는 개발용 노트북에 대해 작성한 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개발을 할 때 어떠한 키보드를 쓰는 게 좋을지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OS 키보드를 고를때 가장 먼저 선택해

    jobblogcom.tistory.com

     

     

    개발언어

     

    우선 본인이 무엇을 개발할건지에 따라 우선순위가 갈립니다.

    IOS

    본인이 만약 Apple 의 생태계 MacOS 환경에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Xcode 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다 필요 없습니다.

    그냥 맥북,맥미니 같은 Apple 의 기기를 사야합니다. 대체? 불가능합니다.

    얘들이 아주 사악하게 지들환경에서만 개발할수 있도록 해서 그냥 이거 사야합니다.

     

    그외

    그외 다른 언어를 개발한다면 window 또는 macos 전부 선택 가능합니다.

     

    OS

    사양 이전에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선택지 입니다.

    OS 는 크게 세가지로 분류가 가능합니다.

    MS 사의 Windows

    한국에서 제일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뛰어난 호환성 및 GUI 를 제공합니다. 게임, 문서 작업 , 인터넷 쇼핑, 금융 업무,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며 코딩 또한 문제없이 가능합니다.

    Apple 의 MacOs

     

    두번째로 많이 쓰는 OS 로 애플의 맥 OS 입니다. 위에도 언급헸듯이 얘들 생태계 환경에서 돌아가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면 무조건 MacOS 선택해야합니다.

    그외에 선택지 같은건 없습니다.

     

    Linux 기반의 OS

     

    리눅스 기반의 OS 또한 선택지가 존재합니다. (Ex CentOS , Ubuntu) 등 다양한 리눅스 기반의 OS 를 선택할수 있으며 맥 처럼 터미널 환경 및 다양한 개발 언어를 손쉽게 개발할수 있습니다. 또한 리눅스 기반을 선택한다면 대부분 프리도스 제품(OS 미설치) 제품을 구매할수 있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합니다.

    다만 리눅스 기반의 OS 는 특정 제품 을 타기 때문에 노트북 선택시 선택의 폭이 좁으며 또한 윈도우 와 비교해 세팅 환경 및 설정 등이 번거로울수 있습니다.

     

    RAM

    https://www.samsungsemiconstory.com/kr/%EC%82%BC%EC%84%B1%EC%A0%84%EC%9E%90-%EC%84%B8%EA%B3%84-%EC%B5%9C%EC%B4%88-20%EB%82%98%EB%85%B8-8%EA%B8%B0%EA%B0%80-ddr4-%EC%84%9C%EB%B2%84-d%EB%9E%A8-%EC%96%91%EC%82%B0/

     

    한번쯤은 들어봤을 램 입니다. RAM 용량은 개발함에 있어 OS 다음으로 중요한 선택 사항입니다. 다다익램 (램 용량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입니다. 다만 램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또한 올라갑니다.

    다양한 램 용량을 선택할수 있지만 그중 가장 많은 선택지를 예시로 들어봅니다.

    8GB

    거릅니다. 8GB 가지고는 개발 하기위한 IDE 환경 맞추기 힘듭니다. 요즘 휴대폰도 8GB 는 못쓰는 환경인데 개발자가 8gb 가지고 개발하면 속터져서 못씁니다.

    16GB

    고민 합니다. 솔직히 16도 적은거 같지만 그래도 개발하는데 약간의 버벅임만 존재할뿐 입니다. 만약 자신이 인내심이 존재한다면 16gb 는 좋은 선택지일것입니다.

    32GB

    강추 합니다. 32GB 면 어지간한 개발하기 위한 세팅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언어의 따라 다르겠지만 32GB 정도면 어디가서 꿇리는 개발환경은 아닙니다.

    64GB

    호불호 입니다. 본인의 금전적 여유가 좋다면 64GB 또한 좋은 선택지일것입니다.

     

    저장장치

    부팅 속도 및 프로젝트 실행시의 속도를 좌지우지 합니다.

    저장장치는 는 크게 HDD , SSD로 갈리며 갈립니다. 보통 SSD+HDD 조합을 쓰거나 아니면 단일 SSD 만 쓰는 경우 입니다.

    SSD

    “SSD는 Solid State Disk 또는 Solid State Drive 를 일컫는 말로써 NAND플래시 또는 DRAM 등 초고속 반도체 메모리를 저장매체로 사용하는 대용량 저장장치를 뜻한다.”

    라고 써 있는데 그냥 쉽게 말해서 빠르다 이런 의미 입니다.

    노트북 구매시 가성비 있게 맞추면서 속도 또한 보장하는 저장장치입니다. 또한 발전하면서 SATA 방식의 SSD 가 가격이 많이 내려 가면서 엄청 큰 대용량이 아니면 SSD 를 선택하는게 맞습니다.

    M.2

     

    가장 최신 폼펙터로 속도도 SATA 방식에 비해 빠르며 크기도 작기 때문에 저장용량 과 무게 두마리 토끼 모두 잡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SATA

     

    m.2 이전의 폼펙터로 요즘은 외장SSD 에 많이 보이는 방식입니다.

    HDD

    옛날 디스크 저장 방식으로 큰 용량에 가격 까지 저렴하게 할수 있다는게 특징입니다. 다만 SSD 와 NVME 에 비해 속도가 현저히 느리며 요즘은 HDD 에 OS 설치나 프로그램을 설치 하지 않습니다. HDD 는 단순한 백업 용도로 사용하며 HDD 를 사용한다면 대부분 SSD+HDD 조합으로 주 OS 나 프로젝트는 메인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HDD 에는 옛날 프로젝트나 백업 용도로 사용합니다.

    요즘 노트북에서는 거의 찾아볼수 없는 저장 장치로 대부분 외장 하드를 사용합니다.

    용량

    256GB

    거르도록 합시다. OS 만 깔아도 절반은 넘게 차지하며 각종 프로젝트 , 게임 , 영상 등 저장하면 256 이라는 숫자는 너무 작습니다.

    500GB

    강추합니다. 256 GB 에 비해 상당히 널널 하며 가격또한 256 GB 에 비해 크게 차이나는점이 없습니다.

    1TB

    호불호입니다. 1TB 솔직히 다쓰기 버거운 용량입니다. 보통 평균적으로 프로젝트를 저장하더라도 몇몇 프로젝트는 대부분 GIT 을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올리기 때문에 옛날 프로젝트를 로컬에 보관할일은 거의 없습니다.

    CPU

    사람으로 치면 인간의 뇌 의 역할을 하는 놈입니다.

    https://www.cpubenchmark.net/laptop.html

     

    PassMark Software - New Laptop CPUs Performance

    Benchmarks of the CPUs classified to be used in laptops. This chart compares CPUs designed for laptop is made using thousands of PerformanceTest benchmark results and is updated daily.

    www.cpubenchmark.net

    위 사이트에서 손쉽게 CPU 순위를 볼수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점수가 높은놈이 장땡입니다. 다만 노트북에 따라 최적화 여부도 중요하니 너무 의존하는건 금물입니다.

    GPU

    일명 그래픽카드 로 게임 및 영상 제작에 빠질수 없는 놈입니다. 본인이 만약 게임을 즐겨하거나 한다면 GPU 도 고려를 해야하며 이에 따라 가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PassMark Video Card (GPU) Benchmarks - High End Video Cards

     

    PassMark Video Card (GPU) Benchmarks - High End Video Cards

    Video Card Benchmarks - Over 1,000,000 Video Cards and 3,900 Models Benchmarked and compared in graph form - This page contains a graph which includes benchmark results for high end Video Cards - such as recently released ATI and nVidia video cards using t

    www.videocardbenchmark.net

    정말 본인이 코딩만 한다면 영상 보는데에는 내장그래픽 카드도 충분하니 이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제조사

     

    제조사는 상당히 다양합니다. 누구나 아는 대기업 LG , 삼성 부터 MSI , 레노버 ,ASUS 등 많이 존재합니다.

    특히 제조사를 고를때 중요한점은 AS 가 원활하고 보증기간이 얼마나 되냐를 따저야 합니다.

    AS 에 대한 내용은 대부분 해당 제조사 를 치고 AS 후기를 검색하게 되면 다양하게 나오기 때문에 꼭 검색을 해보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LG , 삼성의 경우 AS 가 원활하다는 점 과 대기업 딱지로 인해 비슷한 성능 대비 타 제조사에 비해 가격이 뻥튀기 되어 있기 때문에 이점 참고를 해야합니다.

    (PS. 최근 삼성에서 출시한 노트북 이 상당히 가격이 메리트 있다는 소문이..)

    외산 노트북 MSI , ASUS 같은 얘들이 비교적 한국 기업의 노트북에 비해 가격도 저렴하면서 가성비 로 자리잡혀 있습니다.

    무게

     

    아무레도 노트북 특성상 빼먹을수 없습니다.

    평균적으로 외장 그래픽이 들어갈수록 무게가 올라갑니다.

    가볍다고 소문난 LG 그램의 경우 1KG 미만입니다.

    다만 가벼울수록 가격또한 비싸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비추어 볼때 1.3 ~ 1.4KG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맥북 에어가 1.3 미만입니다.

    디스플레이

     

    13 인치

     

    너무 작습니다. 물론 디스플레이가 작아지면서 무게도 가볍고 들고다니기 편하지만 그럼에도 너무 작습니다. 코드를 할때 글씨 키워서 볼거 아니면 거르도록 합시다…아니면 모니터를 따로 사용한다면 모를거 같습니다.

     

    16 인치

     

    적당합니다. 노트북만 들고다니면서 코딩하는데에도 충분히 무리없으며 무게도 적당합니다.

     

    17 인치

     

    너무 큽니다. 게임 영상 이런거 위주로 하고 집에서만 사용할거면 상관없습니다. 근데 그럴거면 차라리 데탑을 사지.. 뭐하러 노트북을 삽니까 들고다니면서 사용하기 무리가 있습니다. 너무 커서 무게도 많이 나가고 들고다니기도 힘듭니다.

     

    마치며

     

    다음은 위에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본인이 생각하는 노트북을 추천해볼 예정입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