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만 알아도 차트 매매가 쉬워진다. 추세선 그으는 방법

목차

    오늘은 차트 매매를 하기 위해 필수요소중 하나인 추세선 그으는 방법입니다.

    추세선만 알아도 차트 매매의 반은 성공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추세선 그으는 방법 

     

    추세선이란?

    추세 의 사전적 의미로는 '어떤 현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 이라고 적혀있습니다.

    그렇다면 추세선은 이러한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것을 확인하기 위한 선이라고 할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추세선에는 하락추세선과 , 상승추세선 총 2개가 존재합니다.

    상승 추세선과 하락 추세선 2개 모두 각 꼭지점을 2개 이상 연결하여 선으로 만드는것을 기본으로 합니다. 또한 각 연결하는 꼭지점의 갯수가 많아질수록 해당 추세선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집니다.

     

    상승추세선

    상승 추세선 그으는 방법 

    상승 추세선을 긋기 위해서는 주가가 상승의 파동을 그리며 올라가는 주가의 저점을 연결합니다. 또한 주가의 고점을 서로 연결 하여 상승추세선의 저항선을 만들수 있습니다.

    아래 차트는 삼성전자의 1일봉 차트입니다. 지난 3월 코로나 판데믹으로 인해 삼성전자의 주가는 4만 초반까지 가격이 하락을 하였습니다.

    우리는 이때 반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첫번째 꼭지점으로 합니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저점을 한번더 확인하였습니다.  이렇게 생긴 꼭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추세선을 그으는 것입니다. 

    한번 만든 추세선은 앞으로 지지선의 역할을 하며 해당 구간에서 반등 혹은 가격을 유지하는것을 볼수있습니다.

    상승추세의 이탈

    만약 이렇게 잘가던 주가의 상승 추세선을 깨고 하락할경우 어떠한 현상이 발생할까요? 위에 이미지 처럼 가격의 하락현상을 볼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빠진 주가는 끝났다고 봐야 할까요?

    아닙니다. 물론 여기서 가격이 더 빠질수도 있지만 추세선만으로는 사실 판단하기 힘들기 때문에 다른 지표들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또한 추세선을 이탈했을경우 한번더 추세선 안으로 들어오기 위해 반등 또한 염두할수 있습니다. 다만 이렇게 추세선을 이탈한 이후 다시 반등을 할때에는 해당 추세선은 저항으로 작용합니다. 

     

    하락추세선 

    하락 추세선 그으는 방법 

    상승 추세선과는 반대로 하락하는 파동에서 생기는 추세선으로 하락하는 주가의 고점의 꼭지점을 서로 연결합니다.추가적으로 주가의 저점을 연결하여 하락추세선의 지지선을 만들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삼성전자의 1일봉 차트입니다. 2017년 11월쯤 5만원 후반대에 고점을 만들었으며 이후 지속적인 하락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렇게 생긴 고점을 서로 연결하여 하락추세선을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생긴 하락추세선은 저항대로 작용하며 해당 구간을 만날경우 다시 한번더 가격이 하락하는것을 볼수있습니다.

     

    하락추세선 이탈

    만약 가격이 하락하던 주가가 하락추세선을 돌파할경우 에는 바로 매수를 해야 할까요? 답은 '기다린다' 입니다.

    1번 에서 처음으로 하락추세선을 돌파하였으나 해당 구간의 저항 으로 인해 대량의 매도 물량이 나왔으며 다시한번더 하락추세선 안으로 들어 왔습니다. 이후 가격이 약하락 진행되었습니다.

    2번 구간에서 한번더 하락추세를 돌파하여 가격이 꾸준히 상승 하였습니다. 공격적인 투자자 라면 해당 구간에서 매수를 할수있습니다. 하지만 이또한 저항으로 인해 가격이 하락 하였습니다.

    3번 구간에서는 적극적인 매수를 할수 있는 구간으로 가격이 상승하다. 이익실현 을 위한 매도가 나왔으나 돌파한 하락추세선 에서 지지하는 모습을 확인하였습니다. 

    만약 가격이 하락하다가 하락추세선을 돌파할경우 해당 하락추세선은 지지로 작용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상승추세선 과 하락추세선에 대해 설명해드렸습니다. 추세선 단독으로 사용할경우 신뢰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동평균선과 같은 여러 보조지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리며 

    추가적으로 만드시 확정 이탈(*해당 추세선을 이탈한 상태로 장 마감)을 확인 하고 매매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021.03.03 - [차트팁] - 거래량으로 세력의 움직임을 파악하자 On Ballance Volume(OBV)

    2021.02.26 - [차트팁] - 볼린저 밴드 를 활용한 매매 방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